본문 바로가기

일상을 넘어서 : 수익화 지향/사는 재미

슬기로운 의사생활 2 티빙으로 보기

반응형

야구 중계 외에는 TV를 거의 안보게 되었기 때문에 <슬의 2> 방영한 걸 모르고 있었다.

유튜브에 자주 뜨길래 곧 시작하겠구나 생각했었는데
어제밤 야구 끝나고 심심해서 TVing에 접속했다가 에피소드 1이 방영된 것을 알게 되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 포스터

추억팔이, 감성팔이 등으로 비판하는 사람도 많고 그런 시각에 어느 정도 수긍이 가는 면도 있지만, 분명한 것은 제작진이 이끄는 대로 따라 웃고 따라 울고 따라 화내며 보았다는 사실이다. 아무래도 나는 수준높은 평론가들의 심미안에는 미치지 못하는 모양이다.

나이 먹으면서 달라진 것 중 뚜렷한 한가지가, 드라마 보면서 왠만큼 케미가 터지지 않는 한 '커플'에 감정이입을 할 수 없게 된다는 것이다. 기껏 한다는 소리가 '좋을 때다~' 이러고 있다.

<슬기로운 의사생활> 1시즌을 재미있게 보았던 이유 중 하나는, 여기 나오는 커플들에 감정이입이 잘 되었기 때문이다. 준완이 익순이에게 성큼 다가섰던 방식도 설레었고, 안정원을 짝사랑하는 장겨울도 민망하지 않았고, 가는 마음을 미리미리 접어버리는 양석형의 마음이 뭔지 잘 알겠고, 친구 때문에 채송화를 포기했으나 마음을 거두지 못했던, 그러면서도 다른 이와 결혼해 가정에 충실했던 익준이의 '성실한 감정'도 설득력 있었다.

결정적으로 그런 익준이와, 박력있게 채송화에게 다가서던 안치홍 사이에서 보고있는 나도 참 마음을 못 정하겠는거라, 웃기면서도 제법 심각하게 채송화는 둘 중 누구를 선택해야할까 고민했었다. 결론은, 채송화가 좋아하는 사람을 선택해야한다는 것이었는데 채송화 마음을 드라마가 보여주지 않았기 때문에 알 수 없었다.

2시즌에는 안치홍이 나오지 않고, 에피소드 1에서 어느 정도 디폴트 값으로 돌아가버리는 설정이 나온다. 메인이었던 삼각관계가 다른 인물들로 넘어가는 것일까.

추민하가 병원 앞 스테이크 가게에 갔다가 눈오는 병원 밖에 서있는 씬의 분위기는, 인물의 감정선은 둘째치고 화면 자체를 예쁘게 공들여서 만든 티가 났다. <ER>의 그 많은 에피소드(모두 봤기 때문에 그 중 뭐였다고 기억해낼 수는 없지만) 눈오는 그 풍경은 보자마자 <ER>을 떠올리게 했다. 서울 못지 않게 시카고는 춥고 눈이 많이 오니까.

추민하가 눈밭의 한쪽에 치우쳐 서있던 장면은 당연하겠지만 <이터널 선샤인>을 생각나게 했다.

눈오는 밤, 크리스마스에 만나고 싶은 사람, 따뜻한 실내, 좋은 음식 냄새와 와인, 기억에 남은 과거의 작품들 이런 것들이 마음을 몽글몽글하게 만들었다. 현실은 장마와 무더위를 기다리는 형국이지만.

'연우엄마' 이야기가 등장하기 전까지, 에피소드 1은 조금 심심했다. 살짝 지루한 느낌마저 들었다. 이제 막 시작하는 것인데 우리는 이미 등장인물들을 잘 알고 있어서 어쩔 수 없었던 것 같다.

연우엄마가 병원을 자주 찾는 이유가 나왔을 때 마음이 쿵 내려앉으면서 눈물이 났다. 소중한 존재를 보냈던 경험이 나에게도 있기 때문에 연우엄마 마음이 이해가 갔다.

잊혀짐과 기억에 대한 영화 <코코>를 주말에 한번 찾아봐야겠다.

* 티빙은 가입할 때 사이트와 아이폰을 통한 가입이 가격이 다르다는 것을 들어서 알고 있었다. 그래놓고 버젓이 아이폰을 가입해버린 사람, 나다.

반응형